4대 공적연금 잠재부채 1335조원…GDP의 82% 규모
상태바
4대 공적연금 잠재부채 1335조원…GDP의 82% 규모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7.04.27 0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납세자연맹, “국민 1인당 잠재부채 2606만원…사실상 자본잠식 상태”

납세자연맹, “국민 1인당 잠재부채 2606만원…사실상 자본잠식 상태”

국민연금과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4대 공적연금의 잠재부채가 133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금리하락과 연금수급자 증가, 기여금보다 많이 주는 확정급여형 지급방식 등 연금제도의 구조적인 모순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납세자연맹은 2016년말 현재 가입자들에게 지급해야 할 국민연금 등 4대 연금의 충당부채(책임준비금)는 1910조원에 달했지만 실제 적립된 금액은 575조원에 불과해 부족한 잠재부채가 1335조원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 <자료=한국납세자연맹>

연금충당부채는 현재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과 기여금을 내고 있는 가입자에게 주어야 할 연금을 현재가치로 계산한 금액이다. 재직자는 재직한 기간에 대해 주어야 할 연금액만 계산한다.

잠재부채(미적립부채)는 기여의 현재가치를 초과하는 급여의 현재가치, 즉 부족재원을 뜻하는 것으로 급여지급에 대한 약속을 해 놓고 그 지출에 필요한 재원을 사전에 적립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사보험과 비교하면 부족한 책임준비금이다. 국민연금의 수익비가 2배라고 하면 기여보다 많이 주는 1배는 잠재부채가 된다고 보면 된다. 연금충당부채에서 기금적립금을 차감한 금액이 잠재부채다.

납세자연맹은 연금별로 부족한 잠재부채를 국민연금 558조원, 공무원연금 601조원, 군인연금 152조원, 사학연금 25조원으로 파악했다.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의 잠재부채는 정부의 국가재정 결산자료의 연금충당부채 금액이고(기금고갈로 적자보전·기금적립이 없는 것으로 가정), 통계에서 누락돼 있는 국민연금 잠재부채는 2016년말 적립기금액과 동일하게, 사학연금은 기금액의 1.5배로 각각 추정해 산정했다.

납세자연맹이 파악한 4대 연금의 잠재부채 1335조원은 2016년 국가채무액 627조원보다 708조원 많고, 2016년 국내총생산(GDP) 1637억원의 82%에 달하는 규모다. 이는 2015년보다 140조원 더 증가한 액수로 1년 만에 하루 3840억원의 잠재부채가 매일 쌓인 셈이다.

연금잠재부채를 전체인구로 나눈 국민 1인당 부채는 2606만원이며 0~14세 어린이 1인당 부채는 무려 1억9478만원에 이른다.

▲ <자료=한국납세자연맹>

납세자연맹은 “기획재정부가 발생주의에 의한 2016년 회계연도 국가결산 결과 국가자산은 1962조원, 부채는 1433조원, 순자산은 529조원이라고 발표했다”며 “하지만 국민연금과 사학연금 잠재부채를 국가부채에 반영하지 않아 이를 추가하면 순자산은 54조원 마이너스가 나오는데 이는 사기업으로 보면 자본잠식상태와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 <자료=한국납세자연맹>

연맹은 “정부는 국가결산 때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에 대해서만 연금충당부채를 계산해 발표하고 있다”며 “국민연금이나 사학연금도 국가가 지급을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4대 공적연금 모두 누락없이 충당부채를 계산해 국가결산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선택 납세자연맹 회장은 “우리의 미래세대에게 자산을 물려주지 못할망정 엄청난 빚을 떠맡기는 것은 현세대의 무책임하고 부도덕한 행태”라며 ”지금과 같은 확정급여형 연금제도가 지속가능하지 않다면 스웨덴처럼 낸 보험료만큼 받아가는 기여형 연금제도로 전면개혁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